this page comes from http://quagga.kaist.ac.kr/hanterm/


HANTERM

An XTerm with Hangul support

hanterm 은 1991년 송재경님이 만드신, 한국어를 지원하는 X11 vt100/220 emulator 입니다. 이후 2.0 부터 xterm 을 바탕으로 만들어져 현재 3.0.4 beta 7 과 XFree86 xterm 을 기반으로 만든 XF 3.3.1 patchlevel 12 까지, 개발자들의 연계 없이 독립적으로 개발되어 왔습니다.

그동안 많은 기능 추가와 성능 개선이 이루어져 왔지만 사용자들의 혼란을 줄이고 개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금까지 노력해 오신 개발자분들을 모아 하나의 단일 버전으로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 프로젝트의 핵심입니다.

한국어를 X11 shell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다른 방법들도 있습니다만, hanterm 은 johab* 인코딩을 사용하는 폰트들을 사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덕분에 기존의 KSC5601.1987 폰트들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모든 글자를 표현할 수 있고 새로운 폰트를 개발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집니다.

이 홈페이지는 새로운 hanterm 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의 홈페이지입니다.


News


00/11/29

버전 3.1.4 가 릴리즈되었습니다. 주된 변경 내용은 백묵 글꼴의 ksx1001.1997 인코딩 이름을 지원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 외 변경 사항은 CHANGELOG 를 참조해 주세요.

00/09/01

ftp 서버에 대한 크래킹 시도들이 줄기차게 이어져서, 결국 ftp 서비스를 닫았습니다. 당분간은 좀 불편하시더라도 다운로드 URL을 이용해 주세요. 이후에 정리해 두겠습니다.

00/01/16

메일링 리스트 프로그램 바꾸고, web archiving 프로그램 다시 깔고, 서버 바꾸고... 등등. 이제는 웹에서 아카이브를 제대로 보실 수 있습니다.

99/10/28
  1. 서버의 OS 를 업그레이드했습니다. sendmail 의 셋업도 바꾸었습니다만, 혼란한 와중에 mailing-list 서비스가 동작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mailinglist 프로그램을 바꾸었습니다만, 내장된 웹 인터페이스가 MIME 헤더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새 메시지 저장소에서 한글 제목이 제대로 안 보이는 것은 조금만 참아주시기 바랍니다. 이 문제가 해결되는 대로 옛 메시지 저장소와 합쳐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2. 홈페이지를 정리하고, http 로 제공되던 hanterm 소스들을 위해 anon FTP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실은 OS를 바꾸니까 기본적으로 있더군요 :). 새로운 소스 저장소는 여기입니다. 긴 파일 이름이 웹으로는 잘 안보여서 불편하셨죠?
99/08/31

hanterm-3.1.3 이 릴리즈되었습니다. 3.1 에서 많은 분들이 알려주신 버그들이 고쳐졌습니다. 3.1.1 과 3.1.2 가 급하게 고친 patch release 들이었던데 반해, 3.1.3 은 좀 더 긴 테스트 기간을 갖고 개발되었습니다.

  1. 오랫동안 속썩이던, 채팅창 반전 버그가 해결되었습니다.
  2. 특정 글자들을 F9 로 한자변환할때, 몇 몇 X 서버에서 한텀이 죽는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3. IRIX 6.5 등의 플랫폼에서 hanterm 이 돌아가지 않던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4. troff 형식이던 매뉴얼을 html 형식으로 바꾸어 포함시켰습니다.

언제나처럼 여기서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99/06/01

hanterm-3.1 이 release 되었습니다. 3.1pre3 이 특정 상황에서 CPU time 을 잡아먹던 버그 등이 고쳐졌습니다. 언제나처럼 이 곳에서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사용해 보시고 문제점이 있으면 han.comp.hangul 뉴스그룹에 써 주십시오.

99/04/01

hanterm-font-3.1pre3 올렸습니다. 지금까지 cair-archive 등으로 배포된 글꼴들과 기본적으로는 같습니다만 johab844 글꼴들의 X 명칭이 잘못되어 있던 점을 고쳤습니다.

주의: Imakefile 이 아직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곧 고치겠습니다.

99/03/20

많은 분들이 고대하시던(?) CVS repository 에 대한 read-only access 가 가능해졌습니다. 다음과 같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 cvs -d :pserver:cvs@samwise.kaist.ac.kr:/home/cvs login
	(Logging in to cvs@samwise.kaist.ac.kr)
	CVS password: (그냥 return 을 치십시오)
	$ cvs co hanterm; cvs co hanterm-font
	

CVS를 사용하시면 현재 개발 중인 싱싱한 hanterm-3.1pre 코드와 글꼴들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99/03/17

hanterm-3.1pre3 의 테스트가 현재 진행중입니다. 지금까지 테스트된 플랫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플랫폼 외의 OS/Compiler/X-window 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hanterm-3.1pre3 를 다운로드해서 인스톨해 보시고, 결과를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보고 시 주의사항들: 이 코드는 X11R5 xterm 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xterm 코드 자체의 사소한 버그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고해 주시는 문제점들은 대부분 hanterm 다음 버전에서 해결될 것입니다. 관심 가져 주시는 많은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99/03/04

hanterm-3.1pre2 가 release 되었습니다. 3.0.4beta7 에서 고쳐진 점들은 ChangeLog 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이 릴리즈는 기능 향상 보다는 버그 잡기를 목표로 개발되었으므로, 많은 platform 에서 컴파일/테스트 해 주시기 바라며, 그 결과를 개발자들에게 메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99/02/26

CVS repository 가 셋업되었습니다. 이 repository는 현재 진행중인 hanterm-3.0.4b7 안정화 작업을 위한 것입니다. 작업이 끝나면 hanterm-3.1 을 release 할 계획입니다. CVS 계정을 원하시는 분은 관리자에게 연락해 주십시오.

현재로선 anon cvs 억세스는 지원되지 않고, 앞으로도 사실 계획이 없습니다. 프로젝트가 충분히 진행되면 daily snapshot 을 이 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계획입니다.

99/02/19

hanterm-dev 메일링 리스트가 셋업되었습니다. 가입하시려면 hanterm-dev-request@samwise.kaist.ac.kr 로 제목없이 내용에 "subscribe" 라고 써서 보내시면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Links

신정식님의 한글 FAQ -- 컴퓨터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황치덕님의 홈페이지 -- hanterm-xf, gau, ami...

미지 리서치 -- HWP/X, 한글 입력기, 아래아 한글 폰트 서버 등 리눅스에서의 한글 사용을 위한 많은 지원을 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X/Motif about